티스토리 뷰
Initialize
안녕하세요.
이번 챕터에서는 Initialize(초기화)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앞 챕터들을 거쳐오면서 많은 정의와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보셨습니다.
최대한 간단하게 예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default(초기값)을 할당하고 진행을 했었는데, 이번 챕터에서는 초기화를 조금 더 깊게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금부터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해주세요.
아래 내용은 모두 Xcode 10, Swift 4.2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초기화
일반 타입
먼저 앞 챕터들에서 사용했던 일반적인 초기화를 잠시 보고 가겠습니다.
옵셔널이 아닌 변수나 상수는 초기값을 할당해주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그 변수나 상수가 옵셔널이라면 자동으로 nil
로 초기화가 된다는 차이점을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 선언만 한다면 에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var noneInitValue: Int
// Variable 'test' used before being initialized
print(noneInitValue)
var optionalNoneInitValue: Int?
print(optionalNoneInitValue) // nil
사용자 타입
사용자 타입은 이전 챕터들에서 다루었던 구조체, 클래스, 열거형들을 말합니다.
사용자 타입에서 초기화가 필요한 대상은 저장 프로퍼티입니다.
하지만 저장 프로퍼티라고 반드시 초기화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 기본값이 할당된 프로퍼티
- 옵셔널인 프로퍼티
의 경우에는 초기화가 필요 없지만 두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프로퍼티 즉, 기본값이 없고 옵셔널이 아닌 저장 프로퍼티의 경우에는 초기화가 필요한 것이죠.
사용자 타입의 초기화
구조체
구조체를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본값을 가진 프로퍼티만 소유한 구조체를 먼저 정의해보았습니다.
struct ExamNotRequiredStruct {
var value: String = "기본값"
}
// 기본값이 있는 프로퍼티만 소유한 구조체는 값을 설정하지 않고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let notRequiredStruct01 = ExamNotRequiredStruct()
// 기본값이 있더라도 초기값을 설정하면서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let notRequiredStruct02 = ExamNotRequiredStruct(value: "초기값")
다음으로는 기본값을 가지지 않은 프로퍼티를 소유한 구조체를 정의해보겠습니다. 에러가 발생하게됩니다.
struct ExamRequiredStruct {
var value: String = "기본값"
// 아래 프로퍼티는 초기값이 없습니다.
var noneDefaultValue: String
}
// error: missing argument for parameter 'value' in call
let requiredStruct01 = ExamRequiredStruct()
위 예제처럼 단순하게 객체가 생성되면서 값을 할당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어떨까요?
개발자가 넣어준 초기값을 이용하여 다른 프로퍼티를 초기화해야 하는 경우라면 위처럼 객체를 생성할 수는 없습니다.
init
메서드를 이용하면 이런 처리가 가능합니다.
struct ExamInitStruct {
var value: String = "기본값"
var noneDefaultValue: String
var requiredValue: String
// init 메서드는 동일한 이름으로 여러가지 메서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init() {
// 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라면 초기값이 필요한 모든 프로퍼티를 초기화해야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noneDefaultValue = "초기값0"
requiredValue = "초기값1"
}
init(noneDefaultValue: String) {
// 매개변수와 이름이 같은 경우 self 키워드를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 self가 붙은쪽이 현재 구조체를 뜻합니다.
self.noneDefaultValue = noneDefaultValue
requiredValue = "\(noneDefaultValue) 이렇게도 가능합니다."
}
init(noneDefaultValue: String, requiredValue: String) {
self.noneDefaultValue = noneDefaultValue
self.requiredValue = requiredValue
}
}
// noneDefaultValue = "초기값0", requiredValue = "초기값1"
let initStruct01 = ExamInitStruct()
// noneDefaultValue = "바로", requiredValue = "바로 이렇게도 가능합니다."
let initStruct02 = ExamInitStruct(noneDefaultValue: "바로")
// noneDefaultValue = "모두", requiredValue = "이용 가능합니다."
let initStruct03 = ExamInitStruct(noneDefaultValue: "모두", requiredValue: "이용 가능합니다.")
초기화의 종류
위 예제들에서는 기본적인 초기화 방법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초기화의 종류 두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Designated Initializer (지정 초기화)
- Convenience Initializer (편의 초기화)
지정 초기화
객체를 생성할 때 모든 프로퍼티에는 초기 값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지정 초기화는 초기화가 필요한 모든 프로퍼티를 초기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 예제들은 구조체를 사용했으니 지금부터는 클래스를 사용해보겠습니다.
class ExamDesignatedClass {
var fir: Int
var sec: Int
var thr: Int
init() {
// 지정 초기화
// 초기화가 필요한 모든 프로퍼티를 초기화했습니다.
fir = 0
sec = 1
// 모든 프로퍼티가 초기화가 끝나기 전에 self를 호출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 'self' used in method call 'printProperties' before all stored properties are initialized
// printProperties()
thr = 2
// 초기화가 끝난 후에 self를 호출하면 정상 작동합니다.
printProperties() // 0, 1, 2
}
init(fir: Int, sec: Int, thr: Int) {
self.fir = fir
self.sec = sec
self.thr = thr
}
func printProperties() {
print("\(fir), \(sec), \(thr)")
}
}
지정 초기화는 하나 하나의 init
메서드에서 모든 프로퍼티를 초기화 한다는 점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위 예제를 확인해보시면 사실상 코드 중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석을 길게 늘어놓아서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
init() {
fir = 0
sec = 1
thr = 2
// 다른 행동
}
init(fir: Int, sec: Int, thr: Int) {
self.fir = fir
self.sec = sec
self.thr = thr
}
...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는 코드가 동일합니다. 위 코드를 중복을 줄이기 위해서 코드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init() {
self.init(fir: 0, sec: 1, thr: 2) // 에러!!!
// 다른 행동
}
init(fir: Int, sec: Int, thr: Int) {
self.fir = fir
self.sec = sec
self.thr = thr
}
...
그런데 에러가 발생합니다.
Designated initializer for 'class' cannot delegate (with 'self.init'); did you mean this to be a convenience initializer?
지정된 이니셜라이저를 위임할 수 없고, 이 뜻이 편의 초기화를 말하는 것인가? 하고 묻는군요.
네. 편의 초기화를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아래 내용으로 넘어갑니다.
편의 초기화
편의 초기화는 단독으로 객체를 초기화할 수 없는 초기화를 말합니다.
결국 단독으로 객체를 초기화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초기화의 힘을 빌려서 초기화를 진행하게 됩니다. 그렇기 떄문에 위에서 이니셜라이저를 위임할 수 없다고 경고를 띄운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초기화 메서드에 위임하는 예제를 보도록 해볼까요?
위 예제를 조금 정리하고 이름만 바꾸어보았습니다.
class ExamConvenienceClass {
var fir: Int
var sec: Int
var thr: Int
// convenience 키워드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convenience init() {
self.init(fir: 0, sec: 1, thr: 2)
}
// convenience init(fir: Int) {
// // error: 'self' used in property access 'thr' before 'self.init' call
// self.fir = fir
// self.sec = 1
// self.thr = 2
// }
// 위 처럼 convenience 키워드를 붙였다면
// 다른 행동을 하더라도 초기화가 끝난 상태에서 진행이 되어야합니다.
convenience init(fir: Int) {
// error: 'self' used in property access 'thr' before 'self.init' call
self.init(fir: fir, sec: 1, thr: 2)
}
init(fir: Int, sec: Int, thr: Int) {
self.fir = fir
self.sec = sec
self.thr = thr
}
func printProperties() {
print("\(fir), \(sec), \(thr)")
}
}
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 편의 초기화는 다른 편의 초기화를 이용하여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는데, 이용한 편의 초기화의 종착 초기화는 결국 지정 초기화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convenience -> convenience -> ... -> designated
일을 시켰는데 위임만 하면 일이 끝나지 않겠죠? 슬프지만 누군가는 마무리를 지어야 하는 법입니다.
실패가능한 초기화
초기화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주민을 등록해야 하는데 주민번호 개수가 맞지 않다면?
휴대폰 전화번호가 01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면? 초기화를 진행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실패가능한 초기화의 구조는 init?()
뒤에 optional
을 붙여주면 됩니다.
그렇다면 초기화가 실패하면 어떤 값을 돌려주어야 할까요? 바로 nil
입니다.
class KoreanPerson {
var name: String
let country: String
init(name: String) {
self.name = name
self.country = "korea"
}
init?(name: String, country: String) {
// 실패 가능한 초기화
self.name = name
// 이렇게 조건을 확인합니다.
if country != "korea" {
// 일정 조건이 맞지 않는경우 nil을 반환합니다.
return nil
}
self.country = country
}
}
정의는 마쳤습니다. 이젠 사용을 해볼 차례인데요.
여기서, 일반 초기화는 객체를 가져다주지만 실패가능한 초기화는 옵셔널객체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let koreanPerson = KoreanPerson(name: "한국인")
koreanPerson // "한국인", "korea"
let koreanPerson02 = KoreanPerson(name: "한국사람", country: "korea")
koreanPerson02 // "한국사람", "korea"
let neighborCountryPerson = KoreanPerson(name: "이웃국인", country: "neighbor")
neighborCountryPerson // nil
let maybeKoreanPerson = KoreanPerson(name: "한국사람인가", country: "korea")
maybeKoreanPerson // optional "한국사람인가", "korea"
if let unwrappingKoreanPerson = KoreanPerson(name: "언래핑", country: "korea") {
unwrappingKoreanPerson // 언래핑 된 KoreanPerson 객체
}
객체 해제 메서드
각 객체는 생성되면 메모리를 할당받게 됩니다.
메모리에 상주하다가 더 이상 이 메모리(객체)를 참조하는 것이 0개가 되면 메모리에서 해제되면서 메모리 사용량이 줄어듭니다.
이 내용은 다음 챕터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이니 위 내용정도로만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객체는 자동으로 참조하는 곳이 0개가 되면 메모리에서 해제가 되는데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서 해제될 때 어떠한 행동을 해야한다면?
deinit
메서드에서 해야하는 행동을 정의하면 됩니다.
init()
과는 다르게 매개변수를 받을 수가 없기때문에 ()
는 없습니다.
class deinitExam {
init() {
print("객체가 생성되었습니다.")
}
deinit {
print("객체가 해제되었습니다.")
}
}
이번 챕터에서는 초기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미 정의되어있는 기본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사용자 타입을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경우도 굉장히 많습니다.
위 내용들을 숙지하신 상태로 사용자 타입을 정의해서 사용한다면 기본적인 에러들을 많이 비켜갈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메모리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조금 더 좋은 내용으로 정리하고 부족한 내용은 채워서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Develop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Book] 상속 (0) | 2019.06.07 |
---|---|
[SwiftBook] 자동 레퍼런스 카운트 (0) | 2018.11.24 |
[SwiftBook] 열거형 (0) | 2018.10.28 |
[SwiftBook] 클래스 (0) | 2018.10.23 |
[swiftBook] 구조체 (0) | 2018.10.14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