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Function
안녕하세요.
이번 챕터에서는 Function(함수, 메서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는 어떠한 동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전 챕터들에서 사용했었던 print()
도 함수였죠.
이 챕터에서 함수의 작성 방법과 사용 방법까지 쭉 익히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해주세요.
아래 내용은 모두 Xcode 10, Swift 4.2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함수의 정의
변수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의를 하듯이 함수도 정의를 해야겠죠?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우선 함수의 구조부터 보여드리겠습니다. []
안에 있는 값은 생략 가능합니다.
// 매개변수 x, 리턴타입 x
func 함수이름() {
// 함수 바디
}
// 매개변수 x, 리턴타입 o
func 함수이름() -> 리턴타입 {
// 함수 바디
return 리턴타입의 값
}
// 매개변수 o, 리턴타입 x
func 함수이름([외부별명] 내부별명: 타입) {
// 함수 바디
}
// 매개변수 o, 리턴타입 o
func 함수이름([외부별명] 내부별명: 타입) -> 리턴타입 {
// 함수 바디
return 리턴타입의 값
}
그러면 이제 실제로 코드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위 구조와 똑같은 순서로 작성하겠습니다.
// 매개변수 x, 리턴타입 x
func chirp() {
print("새가 chirp")
}
chirp()
// 매개변수 x, 리턴타입 o
func getChirp() -> String {
return "새가 chirp"
}
print(getChirp())
// 매개변수 o, 리턴타입 x
func putChirp(chirp: String) {
print("새가 \(chirp)")
}
putChirp(chirp: "chirp")
// 매개변수 o, 리턴타입 o
func putChirpAndGetChirp(chirp: String) -> String {
return "새가 \(chirp)"
}
print(putChirpAndGetChirp(chirp: "chirp"))
함수의 리턴값
함수의 리턴값은 어떠한 동작을 하고 그 결과 값을 함수를 호출한 곳으로 다시 돌려보내주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서비스를 상태를 'On'으로 변경하는 함수가 있다고 한다면, 상태를 'On'으로 변경을 성공했는지, 성공하지 못했는지 리턴 값을 이용하면 알아낼 수 있을겁니다.
위의 함수를 보시면 func 함수명() -> 리턴타입
으로 함수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리턴값을 다루는 법은 위 예시에서 알 수 있겠지만...
여기서, 함수의 리턴값을 한개가 아니고 다수개를 받고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error: consecutive statements on a line must be separated by ';'
// error: expected expression
// error: top-level statement cannot begin with a closure expression
// error: top-level statement cannot begin with a closure expression
// error: expected expression
func multiReturnValue() -> Int, String {
return 10, "문자열"
}
에러 폭탄이 떨어집니다.
저희는 여러 값을 다루는 방법을 이미 이전 챕터에서 배웠습니다.
바로 컬렉션 타입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함수에서 튜플 타입을 리턴값에 사용하고, 그 함수를 사용하고 리턴 값을 받는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func returnNumberOne() -> (Int, String) {
return 1, "One"
}
let (numberOne, strOne) = returnNumberOne()
numberOne // 1
strOne // "One"
함수의 매개변수
함수의 매개변수는 해당 함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함수 선언중에서 func 함수명(매개변수: 타입, ...)
괄호 안에 매개변수를 작성하면 됩니다.
매개변수의 이름과 타입을 반드시 정의해주어야 하며, 배개변수의 이름을 지정하면 해당 함수의 바디에서 그 이름을 사용하여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예제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func sumFunction(number1: Int, number2:Int) -> Int {
return number1 + number2
}
let result01 = sumFunction(number1: 10, number2: 20)
result01 // 30
함수를 사용하는 부분에 집중해주세요.
sumFunction(number1: 10, number2: 20)
함수 바디에서 사용하는 매개변수의 이름을 직접 적어주면서 값을 넣어주고있습니다.
항상 저렇게 이름을 적고 값을 넣어주어야 할까요?
어떤 함수를 정의하실 때, 그 함수명 자체에 뜻이 전달이 된다면 반드시 매개변수 이름을 넣지 않더라도 함수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사용하는데 큰 이상이 없을 것입니다.
func sumFunction02(_ number1: Int, _ number2:Int) -> Int {
return number1 + number2
}
let result02 = sumFunction02(10, 20)
result02 // 30
그런데 함수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없는 값들을 다룰 때는 매개변수명을 상세하게 적어주는 편이 좋습니다. (반드시 넣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지폐 개수를 매개변수로 받아 총 얼마를 가지고 있는지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문제가 없는 함수입니다.
func moneyCalculater01(_ tenThousand: Int, _ oneThousand: Int) -> Int {
return (tenThousand * 10000) + (oneThousand * 1000)
}
// 매개변수가 2개가 있는데, 어떤게 어떤 지폐일까요?
//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코드를 뜯어보는 수 밖에...
moneyCalculater01(3, 8) // 38000
그러면 추천하는 방식도 보여드리겠습니다.
func moneyCalculater02(tenThousand: Int, oneThousand: Int) -> Int {
return (tenThousand * 10000) + (oneThousand * 1000)
}
// 매개변수 명으로 내용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moneyCalculater01(tenThousand: 3, oneThousand: 10) // 38000
함수 매개변수의 이름
위에서 매개변수의 이름을 왜 지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이해하셨나요?
지금부터는 매개변수의 이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적는 매개변수의 이름은 함수 바디에서 사용하는 내부 매개변수 이름입니다.
외부 매개변수 이름을 따로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내부 매개변수의 이름으로 값을 대입하게 됩니다.
func parameterNames(intValue: Int, strValue: String) {
// 여기서 intValue, strValue는 내부 매개변수 이름이 됩니다.
intValue // 100
strValue // "백"
}
// 이렇게 외부 매개변수 이름을 지정하지 않게되면
// 내부 매개변수 이름이 외부 매개변수 이름으로 쓰이게 됩니다.
parameterNames(intValue: 100, strValue: "백")
이미 예시에서는 보여드렸지만 외부 매개변수 이름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func parameterExternalNames(write intValue: Int, read strValue: String) {
// 여기서 write, read는 외부 매개변수 이름이 되고,
// intValue, strValue는 내부 매개변수 이름이 됩니다.
intValue // 100
strValue // "백"
}
// 외부에서는 write, read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arameterExternalNames(write: 100, read: "백")
이번엔 외부 매개변수 이름을 생략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외부 매개변수의 이름을 생략하고 싶다면 외부 매개변수 자리에 _
를 사용하면 됩니다.
띄어쓰기를 주의해주세요!
func parameterOmitNames(_ intValue: Int, read strValue: String) {
// 여기서 intValue의 값을 넣을 때는 이름을 생략하게 됩니다.
// strValue의 값을 넣을 때는 read이름을 지정하고 값을 대입해야 합니다.
intValue // 100
strValue // "백"
}
parameterOmitNames(100, read: "백")
함수 오버로딩
함수 오버로딩은 이름이 같은 함수를 여러개 정의하는 방식입니다.
함수명이 동일한데 어떻게 여러개를 정의하나요? 매개변수가 다릅니다!
바로 예시로 들어가보겠습니다.
func sayYourMoney(hundred money: Int) {
print("당신이 가진 돈은 \(money)백원입니다.")
}
// 아래처럼 외부 매개변수 이름이 다른 경우
func sayYourMoney(thounsand money: Int) {
print("당신이 가진 돈은 \(money)천원입니다.")
}
// 아래처럼 매개변수 이름은 동일하지만 타입이 다른경우
func sayYourMoney(thounsand money: String) {
print("당신이 가진 돈은 " + money + "천원입니다.")
}
sayYourMoney(hundred: 5) // 당신이 가진 돈은 5백원입니다.
sayYourMoney(thounsand: 3) // 당신이 가진 돈은 3천원입니다.
sayYourMoney(thounsand: "3") // 당신이 가진 돈은 3천원입니다.
함수의 이름은 동일하지만 외부 매개변수 이름이나, 타입에 따라서 다르게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 매개변수의 기본값
여러분은 음식 배달 주문시에 꼭 현금, 카드로 결제하겠다고 말씀하시는 편이신가요?
지금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주문을 많이 하지만 그 전에는 전화로 주문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가끔 전화 마지막에 결제 방식을 까먹고 말 안한경우에는 카드를 내밀어보지만 현금 결제해주셔야 한다는 얘기를 종종 듣곤 했습니다.
이 경우를 프로그래밍 세계로 끌고 들어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문하는 사람은 결제 방식을 선택하지 않았지만, 배달은 도착을 했고 결국 현금 결제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행동이 함수라면 불가능하게됩니다.
func delieryOrder(order: String, isCash: Bool) {
print("주문은 \(order)를 하셨습니다.")
if isCash {
print("결제 방식은 현금이시네요.")
} else {
print("결제 방식은 카드시네요.")
}
}
// 탕수육 중으로 하나 부탁드립니다.
// error: missing argument for parameter 'isCash' in call
delieryOrder(order: "탕수육 중")
함수 매개변수를 설정하고 값을 넣어주지 않고 호출을 할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이 상황을 에러가 나지 않도록 변경해봅시다.
func delieryOrder(order: String, isCash: Bool = true) {
// isCash 매개변수에 값을 넣어주지 않았기 때문에
// isCash는 자동적으로 기본 값인 true가 대입됩니다.
print("주문은 \(order)를 하셨습니다.")
if isCash {
print("결제 방식은 현금이시네요.")
} else {
print("결제 방식은 카드시네요.")
}
}
// 탕수육 중으로 하나 부탁드립니다.
delieryOrder(order: "탕수육 중") // 주문은 탕수육 중를 하셨습니다. 결제 방식은 현금이시네요.
이렇게 반드시 함수에 들어와야 하는 값은 그대로 값을 받도록 만들면 되고,
필수가 아니거나 특수한 경우에만 다른 값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초기값을 지정해주는 것이 개발자가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함수의 가변갯수 매개변수
한글로 적다보니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매개변수의 수가 정해지지 않은 다수의 매개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사용하는 방법은 매개변수의 타입을 지정할 때 ...
을 사용하면 됩니다.
다른 선언들과 다르게 조금 신기한 방식을 사용하니 예시를 잘 봐주세요.
func partierList(_ names: String...) {
// 함수 바디에서는 배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ames.count // 배열의 갯수
for name in names {
// 들어온 이름을 하나씩 확인
}
}
partierList("호랑이", "사자", "오소리", "다람쥐")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print()
함수가 가변개수를 가진 매개변수를 사용합니다.
public func print(_ items: Any..., separator: String = default, terminator: String = default)
함수와 옵셔널
이전에 옵셔널을 다룰 때 값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을 때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함수도 예외는 없습니다. 함수의 매개변수가 옵셔널이거나, 반환 값이 옵셔널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단계적으로 예시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매개변수의 옵셔널에 대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옵셔널 타입의 언래핑 방법중에 if-let
, guard-let else
문을 사용하는 예제를 준비했습니다.
// 매개변수의 타입을 지정할 때 ?를 사용합니다.
func yourDrivingLicenceNumberIfLet(licenceNumber: String?) {
// licenceNumber은 옵셔널 타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래핑을 이용합니다.
if let unwrapNumber = licenceNumber {
print("당신의 운전면허 번호는 \(unwrapNumber)입니다.")
} else {
print("당신은 운전면허가 없습니다.")
}
}
func yourDrivingLicenceNumberGuardLet(licenceNumber: String?) {
// licenceNumber은 옵셔널 타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언래핑을 이용합니다.
guard let unwrapNumber = licenceNumber else {
print("당신은 운전면허가 없습니다.")
// guard-let else문엔 반드시 빠져나가는 명령이 필요
return
}
print("당신의 운전면허 번호는 \(unwrapNumber)입니다.")
}
yourDrivingLicenceNumberIfLet(licenceNumber: nil)
// "당신은 운전면허가 없습니다."
yourDrivingLicenceNumberGuardLet(licenceNumber: "123456")
// "당신의 운전면허 번호는 123456입니다."
매개변수가 옵셔널 타입일 경우에는 nil
을 대입할 수 있게됩니다.
이번에는 옵셔널 타입의 반환의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let licenceNumber: String? = "1234567890"
func yourDrivingLicenceNumber() -> String? {
if licenceNumber == nil {
return nil
} else {
return licenceNumber
}
}
// 함수의 반환 값이 옵셔널 타입이기 때문에 if-let을 이용해 언래핑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f let licence = yourDrivingLicenceNumber() {
print("운전면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else {
print("운전면허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
함수내의 함수
Swift는 함수의 안에 함수를 또 선언할 수 있습니다.
예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func functionInFunction() {
func inFunction() {
print("함수안의 함수")
}
// 위 함수가 선언만 된 것이지 실행된 것은 아니므로 바로 실행되지는 않습니다.
print("이 부분이 먼저 실행됩니다.")
inFunction()
}
functionInFunction()
// "이 부분이 먼저 실행됩니다."
// "함수안의 함수"
이번 챕터에서는 함수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함수는 프로그래밍에서 가독성을 올려주고, 코드의 중복성은 낮춰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동일한 행동을 하는 부분은 함수로 묶어주고, 함수명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지 잘 서술한다면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다음 챕터에서는 사용자 타입을 만들기위한 기본 사항중에 Struct(구조체)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조금 더 좋은 내용으로 정리하고 부족한 내용은 채워서 가져오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Develop >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Book] 클래스 (0) | 2018.10.23 |
---|---|
[swiftBook] 구조체 (0) | 2018.10.14 |
[SwiftBook] 옵셔널 (0) | 2018.09.28 |
[SwiftBook] 흐름 제어 (0) | 2018.09.24 |
[SwiftBook] 타입 2/2 (0) | 2018.09.20 |
- Total
- Today
- Yesterday